<p></p><br /><br />사우디 언론인 카슈끄지 사건을 계기로, 아랍의 극심한 언론 통제가 국제 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 <br><br>이집트에서도 최근 비슷한 일이 벌어졌습니다. <br><br>'이집트는 정말 가난한가'라는 제목의 책을 쓴 저명한 경제학자가 갑자기 경찰에 붙잡혔는데요, <br><br>현 정부를 비판했다는 이유입니다. <br> <br>카이로에서 서동일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이집트 경제학자 압둘 칼릭 파루크가 카이로 외곽의 자택에서 경찰에 연행된 것은 지난 21일, <br> <br>그가 쓴 책이 체포 이유가 됐습니다. <br> <br>[나글라 오스마 / 파루크의 아내] <br>"문 앞에 경찰 3명이 서 있어서 정말 놀랐습니다. 그들은 집으로 들어와서 그를 데려가겠다고 말했습니다." <br><br>파루크는 정부의 무능과 독재가 나라를 가난하게 만들었다고 정부 경제 정책을 비판했습니다. <br><br>이집트 정부는 이 책의 실린 내용이 가짜뉴스라며 출판도 금지시켰습니다. <br><br>[서동일 특파원] <br>“그는 경찰에 체포되기 며칠 전 이 집무실에 있던 자신의 연구 내용이 담긴 컴퓨터를 팔았습니다. 정부의 감시와 탄압이 두려웠기 때문입니다.” <br> <br>오늘 새벽 파루크는 풀려났지만, 20여명의 언론인과 활동가들은 가짜뉴스 유포 혐의로 여전히 수감돼 있습니다. <br> <br>[나글라 오스마 / 파루크의 아내] <br>"음악이나 예술 작품도 국가나 집권 세력을 무조건 찬양해야만 합니다." <br> <br>올해 4월 국경 없는 기자회가 발표한 세계 언론자유지수에서 이집트는 180개국 중 161위. <br> <br>언론인 카슈끄지를 살해한 사우디를 비롯해, 중동과 아프리카 국가들은 상당 수가 하위 그룹에 속합니다. <br> <br>카슈끄지 피살 장소인 이스탄불의 사우디 영사관 인근에서는 빈살만 왕세자를 규탄하는 시위가 열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러나, 사우디 왕실은 그의 죽음에 대해 아직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[하티제 젠기즈 / 카슈끄지 약혼녀] <br>"그의 사망 소식을 들은 적도 없지만 그의 시신이 발견되었다는 소식도 듣지 못했습니다." <br> <br>중동 각국의 독재자를 몰아낸 아랍의 봄 이후 7년이 지났습니다. 그러나 '말할 자유를 달라'고 했다가 잔인하게 피살된 한 언론인의 죽음은, 이들 국가들의 민주화가 아직 갈길이 멀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. <br> <br>카이로에서 채널A뉴스 서동일입니다.